수도권 규제에도 꺼지지 않는 충청권 부동산 침체…풍선효과는 어디에?
수도권에 적용된 초강력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기대되었던 **충청권 부동산 회복 흐름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방 시장의 풍선효과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실은 오히려 더 냉랭하다는 평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충청권 아파트 매매 가격과 미분양 현황, 정부 정책의 지역별 대응 과제 등을 꼼꼼히 정리했어요.
1. 기대와 달리 꺾인 충청권 부동산 회복세
지난달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지방 기준)는 **99.4로 전주 대비 0.02% 하락**, 특히 충청권은 대전과 충남 중심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대전은 셋째 주 99.05에서 넷째 주 98.99로 0.06% 하락했고, 충남도 99.60에서 99.57로 0.03% 떨어졌어요.
유성구(-0.10%), 서구(-0.06%) 등의 지역별 약세가 전반적인 지역 시장의 침체를 반영하고 있으며, 실제로 매수세가 크게 회복되지 않으면서 **풍선효과 없이 침체 고착화**가 현실로 드러났습니다.
2. 미분양 주택, 정부 매입에도 해소는 미미
충청권의 **미분양 주택 감소세도 더딥니다**. 6월 기준 대전은 1,663가구로 5월 대비 131가구 줄었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514가구에 달했습니다. 충남 역시 4,260가구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준공 후 미분양 1,259가구는 여전히 부담이 큽니다.
LH 매입사업도 성과가 제한적입니다. 충남 611가구 중 심의 통과는 92가구, 대전·충북은 한 가구도 승인되지 않아 공급 안정화가 요원함을 보여줍니다.
3. 풍선효과가 없었던 이유는 뭘까?
수도권 규제가 지방으로 수요가 이동할 것이란 기대와 달리, 충청권 시장은 **수요 회복 없이 지속적인 하락**을 보였습니다. 이는 수도권 중심의 **수요 집중 구조**, **자금 유입 부족**, **지역별 정책 대응 미흡**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지방 시장은 가격 민감도 높은 실수요층이 대부분이며, **심사 강화된 주담대**가 주택구매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즉, 단순한 틈새시장 유입이 아닌, **내부 수용력 확보 없는 구조적 약세**가 지속되는 셈이죠.
4. 지방 부동산 활성화, 어떻게 풀어야 할까?
지방 시장에 맞는 해법이 시급합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는 **지방 공급 권한 이양, 균형발전**, '5극 3특 생활권 구축'을 공약하며, 수도권-지방 간 격차 해소 의지를 밝혔습니다.
지역 맞춤형 공급, 수요 유입 전략, 취약 계층 대출 확대, 지역 산업 활성화 및 교통 인프라 개선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충청권 부동산도 회복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5. 시사점 요약: ‘지역 맞춤 정책’이 관건입니다
수도권 중심의 일괄 규제만으로는 지방 부동산 시장 회복이 어렵다는 사실은 이번 충청권 사례를 통해 분명해졌습니다. 미분양 해소가 더디고 매수세가 부족한 가운데, 공급 확대나 대출 완화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지역별 시장 특성에 기반한 정책 설계**, **지방 산업 및 교통 인프라 활성화**, **지자체와의 협업 체계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주민과 지방 공공기관의 의견을 반영한 온건한 규제 완화도 고려되어야 하며, **부동산 정책의 세분화와 정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